가을 햇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을 햇살》은 오즈 야스지로가 감독한 1960년 일본 영화이다. 남편을 잃은 미망인과 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친구들이 딸의 결혼을 돕기 위해 벌이는 소동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가족 간의 갈등과 화해를 그린다. 사토미 톤의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오즈 야스지로 특유의 연출 스타일과 하라 세츠코, 사부리 신 등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인다. 로튼 토마토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일본 영화 잡지 《키네마 준보》가 선정한 역대 일본 영화 목록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즈 야스지로 감독 영화 - 동경의 황혼
동경의 황혼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1957년 작품으로, 은행에서 일하는 아버지와 두 딸을 중심으로 엇갈린 가족 관계와 비극적인 사건들을 흑백 화면과 절제된 연출로 담아낸 영화이다. - 오즈 야스지로 감독 영화 - 고하야가와가의 가을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1961년 영화인 고하야가와가의 가을은 교토의 양조장 가족을 중심으로 재혼, 사랑, 죽음 등 삶의 주제를 따뜻하고 섬세하게 그린 작품이다. - 1960년 영화 - 오션스 일레븐 (1960년 영화)
《오션스 일레븐》은 1960년 개봉한 미국의 범죄 영화로, 대니 오션이 동료 10명과 함께 라스베이거스 카지노 5곳을 터는 계획을 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960년 영화 - 작은 병정
《작은 병정》은 장 뤽 고다르가 감독한 1963년 프랑스 영화로, 알제리 전쟁을 배경으로 프랑스 테러 조직과 알제리 독립 지지 단체 사이의 갈등을 다루며 세뇌, 고문, 영화의 본질 등을 탐구한다. - 일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버닝 (2018년 영화)
이창동 감독의 2018년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모티브로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 주연으로 소설가를 꿈꾸는 청년 종수와 어린 시절 친구 해미, 수상한 남자 벤의 미스터리하고 불확실한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고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일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지금 만나러 갑니다 (2018년 영화)
2018년 개봉한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이치카와 타쿠지의 소설을 원작으로 아내를 잃은 남편과 기억을 잃은 채 다시 나타난 아내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판타지 로맨스 영화로, 소지섭과 손예진 주연, 박스오피스 1위, 손예진의 더 서울어워즈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수상 등 흥행과 평가 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가을 햇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제목 | 가을 햇살 |
| 원제 | 秋日和 (Akibiyori) |
| 부제 | "A Calm Autumn Day" (고요한 가을날) |
![]() | |
| 영화 정보 | |
| 감독 | 오즈 야스지로 |
| 제작 | 야마노우치 시즈오 |
| 각본 | 노다 고고, 오즈 야스지로 |
| 원작 | 사토미 톤의 1960년 소설 "만추" |
| 출연 | 하라 세츠코, 츠카사 요코, 오카다 마리코, 사다 케이지, 사분리 신 |
| 음악 | 사이토 다카노부 |
| 촬영 | 아쓰타 유하루 |
| 편집 | 하마무라 요시야스 |
| 제작사 | 쇼치쿠 |
| 배급사 | 쇼치쿠 기네마 겐큐조, 뉴요커 필름 (미국) |
| 개봉일 | 1960년 11월 13일 |
| 상영 시간 | 128분 |
| 국가 | 일본 |
| 언어 | 일본어 |
| 배급 수입 | 1억 4500만 엔 |
2. 줄거리
세상을 떠난 친구 미와(三輪)의 7주기에 모인 마미야(사부리 신), 다구치(나카무라 노부오), 히라야마(기타 류지) 3명은 미망인 아키코(하라 세츠코)와 그 딸 아야코(쓰카사 요코)와 담소를 나누던 중, 결혼 적령기인 아야코의 결혼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마미야는 아야코를 결혼시키기 위해 회사의 부하 고토(사다 게이지)를 소개한다. 두 사람은 서로 호감을 갖게 되지만, 아야코는 어머니를 혼자 남겨두고 결혼하는 것을 망설인다.
이 영화에는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남자들은 아야코가 시집가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머니를 재혼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아내를 잃은 히라야마와 아키코를 맺어주려 한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마미야에게 들은 아야코는 어머니가 재혼할 마음이 있다고 오해하여 큰 충격을 받고, 상담을 하러 간 친구 사사키 유리코(오카다 마리코)와도 사이가 틀어진다.
유리코는 아키코에게서 이야기를 듣고 진상을 파악한 뒤 마미야 일행을 한자리에 모아 호되게 꾸짖는다. 그들의 설명을 듣고서야 유리코의 오해도 풀리고, 모녀의 결혼 이야기는 진전된다. 아키코는 딸과 단둘이 떠난 여행지에서, 자신은 혼자 살아가겠다는 결심을 전하고 딸의 앞날을 응원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 배우 | 배역 |
|---|---|
| 하라 세츠코 | 미와 아키코 |
| 츠카사 요코 | 미와 아야코 |
| 오카다 마리코 | 사사키 유리코 |
| 사다 케이지 | 고토 쇼타루 |
| 쿠와노 미유키 | 마미야 미치코 |
| 미카미 신이치로 | 히라야마 코이치 |
| 사부리 신 | 마미야 소이치 |
| 류 치슈 | 미와 슈키치 |
| 나카무라 노부오 | 타구치 슈조 |
| 미야케 쿠니코 | 타구치 노부코 |
| 사와무라 사다코 | 마미야 후미코 |
| 키타 류지 | 히라야마 세이이치로 |
| 와타나베 후미오 | 스기야마 츠네오 |
| 센노 아야코 | 타카마츠 시게코 |
| 타시로 유리코 | 타구치 요코 |
| 스가와라 츠사이 | 스시 손님 |
- 미와 아키코 (하라 세츠코 분): 남편을 잃은 지 6년 된 미망인.
- 미와 아야코 (츠카사 요코 분): 아키코의 딸. 24세.
- 마미야 소이치 (사부리 신 분):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 사사키 유리코 (오카다 마리코 분):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 타구치 슈조 (나카무라 노부오 분):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 히라야마 세이이치로 (키타 류지 분):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아내를 잃은 지 4년 된 대학 교수.
- 고토 쇼타로 (사다 케이지 분): 소이치의 부하.
- 마미야 후미코 (사와무라 사다코 분): 소이치의 아내.
- 마미야 미치코 (쿠와노 미유키 분): 소이치의 딸.
- 마미야 타다오 (시마즈 마사히코 분): 소이치의 아들.
- 타구치 노부코 (미야케 쿠니코 분): 슈조의 아내.
- 타구치 요코 (타시로 유리코 분): 슈조의 딸. 기혼.
- 타구치 카즈오 (세타라 코시 분): 슈조의 아들.
- 히라야마 코이치 (미카미 신이치로 분): 세이이치로의 아들. 아버지의 재혼에 찬성.
- 미와 슈키치 (류 치슈 분):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형. 여관 주인.
- 스기야마 츠네오 (와타나베 후미오 분):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쇼타로의 친구.
- 핫토리 스스무 (하세베 토모카 분):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 타카마츠 시게코 (센노 아야코 분):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신혼.
- 사사키 요시타로 (타케다 호이치 분): 유리코의 아버지. 초밥집 주인.
- 사사키 히사 (사쿠라 무츠코 분): 유리코의 계모. 요시타로의 후처.
- 쿠와타 타네키치 (토오아케 히사오 분): 아키코가 근무하는 복식학원의 원장.
- 쿠와타 사카에 (미나미 미에 분): 타네키치의 아내.
- 법사의 남자 (스가 후지오 분):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전 부하.
- 여주인 (타카하시 토요 분): 소이치 등이 자주 가는 요정의 여주인.
- 접수 여성 사원 (이와시타 시마 분): 소이치의 회사의 사무원.
- 초밥집 장인 (카와무라 템페이 분): 나이 많은 점원.
- 초밥집 손님 (스가와라 츠사이 분)
3. 2. 주변 등장인물
| 배우 | 배역 |
|---|---|
| 하라 세츠코 | 미와 아키코 |
| 츠카사 요코 | 미와 아야코 |
| 오카다 마리코 | 사사키 유리코 |
| 사다 케이지 | 고토 쇼타루 |
| 쿠와노 미유키 | 마미야 미치코 |
| 미카미 신이치로 | 히라야마 코이치 |
| 사부리 신 | 마미야 소이치 |
| 류 치슈 | 미와 슈키치 |
| 나카무라 노부오 | 타구치 슈조 |
| 미야케 쿠니코 | 타구치 노부코 |
| 사와무라 사다코 | 마미야 후미코 |
| 키타 류지 | 히라야마 세이이치로 |
| 와타나베 후미오 | 스기야마 츠네오 |
| 센노 아야코 | 타카마츠 시게코 |
| 타시로 유리코 | 타구치 요코 |
| 스가와라 츠사이 | 초밥집 손님 |
- 미와 아키코: 하라 세츠코 - 남편을 잃고 6년 된 미망인.
- 미와 아야코: 츠카사 요코 - 아키코의 딸. 24세.
- 마미야 소이치: 사부리 신 -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 사사키 유리코: 오카다 마리코 -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 타구치 슈조: 나카무라 노부오 -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 히라야마 세이이치로: 키타 류지 -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친구. 아내를 잃고 4년 된 대학 교수.
- 고토 쇼타로: 사다 케이지 - 소이치의 부하.
- 마미야 후미코: 사와무라 사다코 - 소이치의 아내.
- 마미야 미치코: 쿠와노 미유키 - 소이치의 딸.
- 마미야 타다오: 시마즈 마사히코 - 소이치의 아들.
- 타구치 노부코: 미야케 쿠니코 - 슈조의 아내.
- 타구치 요코: 타시로 유리코 - 슈조의 딸. 기혼.
- 타구치 카즈오: 세타라 코시 - 슈조의 아들.
- 히라야마 코이치: 미카미 신이치로 - 세이이치로의 아들. 아버지의 재혼에 찬성.
- 미와 슈키치: 류 치슈 -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형. 여관 주인.
- 스기야마 츠네오: 와타나베 후미오 -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쇼타로의 친구.
- 핫토리 스스무: 하세베 토모카 -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 타카마츠 시게코: 센노 아야코 - 아야코의 동료이자 친구. 신혼.
- 사사키 요시타로: 타케다 호이치 - 유리코의 아버지. 초밥집 주인.
- 사사키 히사: 사쿠라 무츠코 - 유리코의 계모. 요시타로의 후처.
- 쿠와타 타네키치: 토오아케 히사오 - 아키코가 근무하는 복식학원의 원장.
- 쿠와타 사카에: 미나미 미에 - 타네키치의 아내.
- 법사의 남자: 스가 후지오 - 아키코의 죽은 남편의 전 부하.
- 여주인: 타카하시 토요 - 소이치 등이 자주 가는 요정의 여주인.
- 접수 여성 사원: 이와시타 시마 - 소이치의 회사의 사무원.
- 초밥집 장인: 카와무라 템페이 - 나이 많은 점원.
- 초밥집 손님: 스가와라 츠사이
- 히라야마 가의 가정부: 야마모토 타미
4. 제작진
| 역할 | 담당 |
|---|---|
| 원작 | 사토미 톤 |
| 감독 | 오즈 야스지로 |
| 각본 | 노다 고고, 오즈 야스지로 |
| 제작 | 야마우치 시즈오 |
| 촬영 | 아츠다 유하루 |
| 미술 | 하마다 타츠오 |
| 편집 | 하마무라 요시야스 |
| 녹음 | 세오 요사부로 |
| 조명 | 이시와타 켄조 |
| 색채 기술 | 오이카와 모토카 |
| 감독 보조 | 타시로 코조 |
| 음악 | 사이토 코준 |
5. 영화 제작 배경 및 특징
오즈 야스지로 감독이 사토미 톤의 원작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쓴 작품으로, 1958년작 《피안화》에 이어 두 번째이다.[10] 하라 세츠코는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작품에서 오랫동안 딸 역할을 맡아왔으나, 이 작품에서 처음으로 어머니 역할을 연기했다.[10] 이와시타 시마는 단역으로 출연했는데, 이를 계기로 오즈 감독에게 발탁되어 《고등어의 맛》의 주연을 맡게 되었다.[10]
낮은 앵글로 카메라를 고정하고 장면을 전환하는 독특한 화면 구성, 풍경 컷 삽입 등 오즈 야스지로 감독 특유의 스타일이 전편에 걸쳐 드러난다.[10] '아버지와 딸'이 아닌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다른 작품들과의 차이점이다.[10] 《만춘》의 부녀 관계를 모녀 관계로 바꾼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녀가 이카호로 여행하는 장면의 여관은 오후나 쇼치쿠 제3 스튜디오에 만들어진 거대한 세트에서 촬영되었다.[10] 이카호의 여관 장면에서 수학여행 학생들이 부르는 노래는 산장의 등불이다.
6. 평가
Late Autumn영어는 로튼 토마토에서 100%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 1973년 노라 세이어는 뉴욕 타임스 기고에서 하라 세츠코와 사와무라 사다코의 연기를 칭찬하며 "결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는 사랑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 그리고 오랜 친구들 사이의 엄청난 애정이 화면에서 드물게 드러난다. 종종, 그것은 친밀한 사람들이 서로를 헐뜯는 작은 농담을 통해 보여진다."라고 썼다.[3]
2009년, 이 영화는 일본 영화 잡지 키네마 준보가 선정한 "역대 일본 영화" 목록에서 106위에 올랐다.[4] 2010년, 피터 브래드쇼는 이 작품에 별 다섯 개를 부여하며, 이 작품이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음조가 모호하고 도덕적으로 복잡하다"고 썼다.[5] 트레버 존스턴은 타임 아웃 기고에서 "이 영화는, 예를 들어 왕가위만큼이나 순수한 미적 즐거움을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 인간적인 수준에서 가장 감동적이다... 마지막 장면에 나타나는 하라의 과장되지 않으면서도 모든 것을 아는 듯한 반쯤 지은 미소는 사랑하고 잃는 것의 불가피한 역설을 보여준다."라고 썼다.[6] 데릭 말콤은 이 영화를 "국적을 초월하고 보편적인 호소력을 지닌 일본 풍습에 대한 해설"이라고 극찬했다.[2]
참조
[1]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
웹사이트
Late Autumn - Movie Reviews
https://www.rottento[...]
2017-02-14
[3]
뉴스
Ozu's 'Late Autumn' Like a Day in the Sun:The Cast
https://www.nytimes.[...]
2017-02-14
[4]
웹사이트
Greatest Japanese films by magazine Kinema Junpo (2009 version)
https://archive.toda[...]
2011-12-26
[5]
뉴스
Film review: Late Autumn
https://www.theguard[...]
2017-02-14
[6]
간행물
Late Autumn (2010), directed by Yasujiro Ozu
https://www.timeout.[...]
2017-02-14
[7]
웹사이트
Eclipse Series 3: Late Ozu
https://www.criterio[...]
2024-03-20
[8]
웹사이트
Late Autumn: Dual Format Edition (Blu ray + DVD) Ozu, Yasujiro
http://filmstore.bfi[...]
BFI
2012-09-04
[9]
서적
松竹九十年史
松竹
1985-12-28
[10]
서적
小津安二郎物語
[11]
뉴스
発信箱:赤色が目に染みた日
2009-03-10
[12]
웹사이트
鳩山総務大臣閣議後記者会見の概要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3-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